블로그 포스트 삭제, sitemap과 구글엔 어떻게 반영될까? 완벽 정리
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한두 번쯤은 게시글을 삭제해야 할 때가 생깁니다. 이때 "단순히 파일만 삭제하면 다 끝나는 걸까?"라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요. 실제로 중요한 건 sitemap과 구글 검색 결과에 삭제 사실이 어떻게, 언제 반영되는지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Nuxt Content 기반 블로그를 예시로, 포스트 삭제부터 sitemap 반영, 구글 인덱스에서의 완전 제거까지 SEO 관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합니다.
✅ 블로그 포스트 삭제, sitemap에선 어떻게 처리될까?
블로그에서 게시글을 삭제하는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/content/blog/...
폴더에서 해당.md
파일을 삭제serverQueryContent()
와 같은 함수로 sitemap을 자동 생성
→ 더 이상 삭제된 글은 sitemap에 포함되지 않음- 즉, sitemap.xml에서는 삭제된 URL이 자동으로 빠집니다
이 과정은 대부분의 정적 사이트 생성기, 현대적 프레임워크에서 동일하게 동작합니다.
즉, sitemap은 늘 "현재 존재하는 글"만 반영하므로, 삭제 작업만 잘 해두면 sitemap 걱정은 따로 할 필요가 없습니다.
❗️구글 검색 결과에는 바로 사라질까?
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 sitemap에서 사라졌다고 해서, 구글이 즉시 해당 게시글의 검색 결과를 지워주진 않습니다.
- 이미 인덱싱된 URL은 구글이 다시 크롤링할 때까지 검색 결과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.
- 만약 삭제된 URL에 접속하면, Nuxt 등의 프레임워크는 404 Not Found 응답을 반환합니다.
- 구글은 크롤링 시 404(또는 410 Gone) 응답을 확인해야 "이 페이지는 정말 사라졌구나"라고 판단하고, 그 후 인덱스에서 제거합니다.
즉, 404 응답을 명확히 보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올바른 삭제 처리 플로우
아래 표는 Nuxt Content 기반 블로그에서의 올바른 삭제 및 인덱스 반영 플로우를 정리한 것입니다.
단계 | 해야 할 일 |
---|---|
1. 포스트 파일 삭제 | /content/blog 등에서 .md 파일 제거 |
2. sitemap 재생성 | 자동으로 삭제된 URL이 sitemap에서 빠짐 |
3. URL 접근 시 404 | 서버(또는 정적 사이트)가 404 Not Found 응답 반환 |
4. 구글이 재방문 | 크롤러가 404 응답을 확인하면 일정 시간 후 인덱스에서 자동으로 제거 |
5. 빠른 제거 원할 때 |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직접 수동 제거 요청 (임시+실제 삭제 가속) |
🛠️ 삭제 URL을 빠르게 구글에서 내리고 싶다면? (Search Console 활용법)
구글에 "이 URL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!"를 빠르게 알리고 싶다면 Google Search Console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
-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
- 좌측 메뉴에서
색인 > 제거
클릭 새 요청 → URL 제거
선택- 삭제한 포스트의 전체 URL을 입력
이렇게 하면, 해당 URL은 임시로 검색 결과에서 제외(약 6개월)될 뿐 아니라, 실제 크롤러가 접속해 404 응답을 확인하면 영구적으로 인덱스에서 제거됩니다.
💡 상황에 따라 301 Redirect, 410 Gone 응답도 활용 가능
어떤 경우에는 단순히 404 Not Found 대신 301 Redirect나 410 Gone 응답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
상황 | 처리 방법 |
---|---|
다른 글로 URL을 이동하고 싶음 | 301 영구 리다이렉트 적용 (useNitroPlugin 등에서 설정 가능) |
완전히 삭제하고 싶음 | 404 Not Found 또는 410 Gone 응답 (410은 "영구 삭제"를 명확히 표시) |
특히, 410 Gone(영구 삭제)은 SEO 관점에서 구글에게 "이 페이지는 앞으로도 절대 복구되지 않을 예정"임을 명확하게 알릴 수 있습니다.
// Nuxt Nitro에서 410 Gone 응답 예시
export default defineEventHandler((event) => {
event.node.res.statusCode = 410
return 'This page has been removed.'
})
정리하며
블로그 포스트를 삭제하면 sitemap에서는 자동으로 URL이 빠지지만, 구글 인덱스에서는 404(또는 410) 응답이 누적 확인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.
Search Console에서 직접 URL 제거 요청을 하면 훨씬 빠르게 검색 결과에서 내릴 수 있다는 점도 꼭 알아두세요.
상황에 따라 301 리다이렉트, 410 Gone 응답 등 다양한 HTTP 상태코드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같이 익혀두면, 블로그 SEO 관리가 훨씬 유연하고 강력해집니다.
블로그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삭제 상황, 오늘 정리한 플로우로 당황하지 않고 처리해 보세요!